Telnet과 SSH는 OSI 7계층(응용계층) 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다.
둘은 원격으로 제어를 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Telnet
원격지의 컴퓨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원격 접속 서비스.
텔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격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이 필요하다.
TCP 포트는 23번을 사용한다.
Telnet은 원격 접속하여 통신 시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아 보안상의 이유로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추세라고 한다.
SSH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프로토콜이다.
TCP 포트는 22번을 사용한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다른 컴퓨터 혹은 장비와 통신 시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해도 자기 자신만 알 수 있는 문자로 보이게 한다.
Telnet과 SSH의 비교
Telnet과 SSH는 기능은 서로 비슷하다.
Telnet은 통신 시 데이터가 평문으로 되어 있어 해킹을 당한다면 정보가 그대로 노출 될 가능성이 크지만,
SSH는 암호화 통신을 하기 때문에 안전한 통신 기능이 제공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0) | 2020.07.31 |
---|---|
이중화 구성 (0) | 2020.07.30 |
TCP/IP 4계층 (0) | 2020.07.30 |
VPN의 종류 (IPsec, SSL) (0) | 2020.07.29 |
가상 사설망, VPN (Virtual private network)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