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DNS (Domain Name System) DNS는 숫자로 구성된 네트워크 주소인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쉬운 문자를 사용하는 도메인이름으로 상호 매칭시켜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쉽게 말해, 우리가 평소에 주소창에 쓰는 www.naver.com 이나, www.google.co.kr 등은 DNS를 이용한 도메인 주소이다. 우리는 그냥 주소창에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네이버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만약 DN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숫자로 된 네이버 IP주소를 기억하고 다녀야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메인 이름을 설정할 때는 영어(A~Z), 숫자(0~9),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어의 대/소문자 구분은 하지 않으며, 특수문자는 오직 '-' (하이픈, 대쉬) 만 사용이 가능하다. 위 사진은 DNS.. 네트워크 라우팅(Routing) 라우팅이란?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구역으로부터 Internetwork를 통하여 통신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최적의 경로라 함은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짧거나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전송할 수 있는 경로를 말한다. 라우팅은 쉽게 말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장치 간 통신을 할 때, 최적의 경로를 통해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을 말한다. 라우팅 기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1) 정적 라우팅 - 입력된 라우팅 정보가 수정하기 전에는 이전의 값이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유지하며, 라우팅 정보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한다. - 네트워크의 규모가 크면 라우터의 숫자도 많아 입력해야 할 정보량도 증가하여 주로 규모가 작은 네트워크에서 정적 라우팅 기법을 사용.. TCP와 UDP 정리 TCP와 UDP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와 같다. TCP : 복잡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연결지향형 프로토콜 UDP : 단순하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비연결지향형 프로토콜 TCP가 신뢰성이 높은 연결지항형인 이유? - 3 way handshaking을 통해 세션연결을 맺은 후 신뢰성이 보장된 후 데이터를 통신하기 때문 TCP와 UDP가 나오게 된 이유 통신을 IP만으로 하게 되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문제점] 1) IP의 역할은 Host to Host(장치 to 장치) 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장치에서 장치로의 이동은 IP로 해결이 가능하나 하나의 장비에서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통신할 경우,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2) IP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ICMP에서 알려주지만, ICMP는 ..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란? -외부 네트워크에 알려진 것과 다른 IP 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변환하는 것. 쉽게 말해 사설 IP대역을 쓰는 내부 네트워크의 사용자가 외부와 통신을 하려 할 때, 사용자의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경해준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왜 NAT를 해야 할까? NAT를 하는 이유에는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1) 공인 IP 개수의 부족 2) 외부로부터 내부망 보호 가능 (사설 IP대역은 인터넷 구간에서 라우팅이 불가능) 이처럼 NAT는 내부망에서 외부로 나갈 때 내부의 사설IP를 공인IP로 변경시켜 내보내준다. 하지만 이렇게만 하면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외부에서 내부로 돌아올 때 내부망 사용자 중 누구에게 돌아와야 하는지 모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AT(.. TCP 세션 연결 및 종료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에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을 3-way handshake라고 한다. Client가 Server에게 TCP 통신을 하기 위해 3-way handshake를 하는 모습이다. [3-way handshake 풀이] 먼저 Client가 SYN 플래그를 보내 SYN_SENT상태가 되고 Server의 답변을 기다리게 된다. Server는 답변으로 SYN+ACK 플래그를 보내어 통신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하고 SYN_RECVED 상태가 된다. Server의 통신가능 답변을 받은 Client는 ACK 플래그를 보내어 자신도 통신 준비가 되었다고 알리고, ESTABLESHED 상태가 된다. Cl.. ARP - 주소 결정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은 3계층(네트워크 계층)의 IP 주소를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의 MAC 주소로 대응 시킬 때 사용한다. 위 그림의 A, B, C P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한다. A와 C가 통신을 하면, 같은 네트워크 대역이므로 MAC 주소를 이용해 통신을 해야 한다. A에서 C로 통신을 시도할 때, A는 C의 IP 주소를 알고 있으나 MAC 주소는 알지 못한다. 이 때 A는 C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하여 ARP 통신을 하게 된다. [ARP 통신 방법] A는 C의 IP 주소를 알고 있으므로, C의 IP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로컬 상에 있는 모두에게 보낸다. (브로드캐스트 한다) 위 그림의 네트워크 구성에서 보면 A가 보낸 신호는 B와 C에게 전송될 것이다. B ) A의 신호를 받았지만 .. OSI 7 Layer, 네트워크 7계층 네트워크는 7계층의 단계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1계층 - 물리 계층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4계층 - 전송 계층 5계층 - 세션 계층 6계층 - 표현 계층 7계층 - 응용 계층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7가지의 계층으로 나누게 되면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이 가능하다. 이는 통신의 흐름을 한 눈에 알기 쉽고, 사람이 이해하기 쉬우며 7개의 단계 중 어느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는 볼 필요 없이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치면 된다는 뜻이다. [계층별 정리] 1계층 - 물리 계층 물리매체(통신 케이블) 를 통해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의 종류나 에러 발생 따위에 상관 없이 단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0과 1)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대표 장..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