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
TCP 세션 연결 및 종료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에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을 3-way handshake라고 한다. Client가 Server에게 TCP 통신을 하기 위해 3-way handshake를 하는 모습이다. [3-way handshake 풀이] 먼저 Client가 SYN 플래그를 보내 SYN_SENT상태가 되고 Server의 답변을 기다리게 된다. Server는 답변으로 SYN+ACK 플래그를 보내어 통신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하고 SYN_RECVED 상태가 된다. Server의 통신가능 답변을 받은 Client는 ACK 플래그를 보내어 자신도 통신 준비가 되었다고 알리고, ESTABLESHED 상태가 된다. Cl..
ARP - 주소 결정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은 3계층(네트워크 계층)의 IP 주소를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의 MAC 주소로 대응 시킬 때 사용한다. 위 그림의 A, B, C P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한다. A와 C가 통신을 하면, 같은 네트워크 대역이므로 MAC 주소를 이용해 통신을 해야 한다. A에서 C로 통신을 시도할 때, A는 C의 IP 주소를 알고 있으나 MAC 주소는 알지 못한다. 이 때 A는 C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하여 ARP 통신을 하게 된다. [ARP 통신 방법] A는 C의 IP 주소를 알고 있으므로, C의 IP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로컬 상에 있는 모두에게 보낸다. (브로드캐스트 한다) 위 그림의 네트워크 구성에서 보면 A가 보낸 신호는 B와 C에게 전송될 것이다. B ) A의 신호를 받았지만 ..
OSI 7 Layer, 네트워크 7계층 네트워크는 7계층의 단계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1계층 - 물리 계층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4계층 - 전송 계층 5계층 - 세션 계층 6계층 - 표현 계층 7계층 - 응용 계층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7가지의 계층으로 나누게 되면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이 가능하다. 이는 통신의 흐름을 한 눈에 알기 쉽고, 사람이 이해하기 쉬우며 7개의 단계 중 어느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는 볼 필요 없이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치면 된다는 뜻이다. [계층별 정리] 1계층 - 물리 계층 물리매체(통신 케이블) 를 통해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의 종류나 에러 발생 따위에 상관 없이 단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0과 1)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대표 장..